top of page

[승소사례/조세] 실현되지 않은 소득 과제 부당, 법원 개발비용 공제 반영해 취소 판결: 권리의무확정주의 재확인

조세/조세범처벌법

[승소사례/조세] 실현되지 않은 소득 과제 부당, 법원 개발비용 공제 반영해 취소 판결: 권리의무확정주의 재확인

개발비용 공제된 양도대금에 대한

양도소득세 부과처분

일부 취소 판결

: 권리의무확정주의 재확인 사례



법무법인 평산 김태희대표 변호사팀

최근 법원에서 권리의무확정주의 원칙을

재확인하는 중요한 판결이 나왔습니다.



이번 사건은 개발비용이 공제된 양도대금에 대해 양도소득세가 부과될 수 있는지 여부가 핵심 쟁점이었으며,

법무법인 평산의 김태희 변호사가 주도적으로 대응하여 양도소득세 부과처분의 일부 취소를 이끌어낸 사례입니다.



특히, 과세 기준이 되는 소득의 실현 가능성과 권리의무확정주의 원칙이 재확인된 점에서 의미가 깊은 판결입니다.


● 사건 배경

의뢰인(원고)은 자신이 보유한 토지를 양수인들에게 매각하였으나,

양수인들은 토지 개발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장애를 발견하면서 양도대금 감액을 요구​하였습니다.



이에 원고와 양수인들은 향후 토지 개발에 소요될 비용을 양도대금 잔금에서 공제하기로 합의하였습니다.



그러나 이후 양도대금 잔금에 대한 분쟁이 발생하였고, 양수인들은 원고를 상대로 채무부존재확인소송을 제기하여 개발비용이 공제된 양도대금 잔금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법적 확인을 받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세무당국)는 개발비용 공제가 반영되지 않은 기존 매매계약서상의 양도대금을 기준으로 양도소득세를 부과하였고,

이에 원고는 실제로 실현되지 않은 소득에 대한 과세는 부당하다며 부과처분의 취소를 주장하였습니다.



● 주요 쟁점

1. 권리의무확정주의에 따른 소득 실현 여부

소득세법상 소득이 발생하려면 실질적으로 실현된 소득이어야 하며, 단순히 권리(잔금채권)가 존재한다고 해서 과세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 사건에서는 양도대금 중 개발비용이 공제된 금액에 대해 과세 대상 여부가 문제가 되었습니다.



2. 과세 대상이 되는 양도소득의 범위

원고는 개발비용이 공제된 잔금만을 기준으로 양도소득세가 부과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피고(세무당국)는 매매계약서상 명시된 양도대금 전액을 기준으로 과세가 정당하다고 주장했습니다.



● 판결의 의미

법원은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여, 개발비용이 공제된 금액에 대해 과세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1. 권리의무확정주의 원칙 재확인

소득세는 실질적으로 실현된 소득에 대해 부과되어야 하며, 개발비용이 공제된 금액은 실질적 소득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이는 기존 대법원 판례에서도 확인된 과세의 기본 원칙을 다시 한 번 적용한 사례입니다.



2. 실현되지 않은 소득에 대한 과세 불가

법원은 단순한 계약상 채권이 아니라, 실제로 실현된 경제적 이익을 기준으로 과세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따라서 개발비용이 공제된 금액을 포함하여 부과된 양도소득세 처분 중 일부가 취소되었습니다.



● 평산 변호사들의 노력

법무법인 평산은 철저한 법리 검토와 증거 확보를 통해 의뢰인의 정당한 권리를 보호하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 계약 조건 및 소송 기록 분석: 계약서 및 채무부존재확인소송 판결문을 바탕으로 과세 부과처분의 부당성을 입증



🔹 소득 실현 여부에 대한 법리적 검토: 권리의무확정주의 원칙을 적용하여 실질적 소득의 발생 여부를 판단



🔹 세무 당국과의 협상 및 조정 성사: 원고의 입장을 강력히 대변하여 양도소득세 부과처분의 일부 취소를 이끌어냄



이러한 노력 덕분에 의뢰인은 불필요한 세금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며, 신속한 조정을 통해 분쟁을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 사건의 의미와 시사점

🔹 권리의무확정주의의 적용 범위 명확화

이번 판결은 과세 대상이 되는 소득이 반드시 실현되어야 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한 사례입니다.

소득이 실질적으로 실현되지 않은 경우 과세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 실질과세 원칙의 중요성

세법 해석에서 단순히 계약서상의 금액이 아니라, 실질적인 경제적 이익을 기준으로 과세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한 판결입니다.

이는 향후 유사한 분쟁에서 납세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중요한 법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법률 전문가의 역할

복잡한 조세 분쟁에서는 정확한 법리 해석과 증거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법무법인 평산의 체계적인 대응 덕분에, 의뢰인은 부당한 과세로부터 보호받고 정당한 세금만 납부할 수 있었습니다.



● 결론

이번 사건은 권리의무확정주의에 따른 실질적 소득 판단 기준을 명확히 한 중요한 판결입니다.



법무법인 평산은 철저한 법리 분석과 전략적 접근을 통해 의뢰인의 정당한 권리를 지켜냈으며,

부당한 양도소득세 부과처분의 일부 취소를 이끌어내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앞으로도 평산 변호사팀은 투명하고 공정한 법률 서비스를 통해 고객의 권리를 보호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법무법인 평산 김태희 대표변호사 l 02-567-8710 l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30길 81 웅진타워 4, 13, 14층 (06644)​

© 2025 WIX로 제작된 본 홈페이지에 대한 모든 권리는 법무법인(유한) 평산에 귀속됩니다.

bottom of page